728x90
반응형

linux 68

mysql 최적화 하기

MySql 최적화, Basic Settings skip-external-locking 항목이 있는데, 이는 MySQL 4.0 이후에는, 모든 시스템에서 외부 잠금을 비활성화 하는 것이 디폴트로 외부 잠금을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 되고 있습니다. skip-name-resolve Mysql 서버가 외부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으면 인증을 위해 ip 주소를 호스트 네임으로 변경하면서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skip-name-resolve를 설정하면 접속 시 IP 기반으로 접속을 하게 되어 hostname lookup 과정 생략되어 좀 더 빠르게 접속 가능하다고 합니다. + 추가 설정 skip-host-cache : 호스트 이름 캐시를 비 활성화 시킬 수가 있다 skip-locked : 쿼리를 실행하며,..

linux/DB 2021.06.04

apache 부하 테스트

ab 툴 - Apache HTTP server Benchmarking Tool - Apache 응답속도를 체크하는 벤치마팅 툴 - HTTP/1.0을 사용함에 주의할 것 설치법 Redhat / Centos : yum install httpd-tools ubuntu : sudo apt-get install apache2-utils 주요 옵션 -n 성능 검사를 위해 보내는 요청 수 -c 동시 접속수 (client) -C Cookie 헤더 -H 요청에 헤더 추가 -i GET 대신 HEAD 요청 -k KeepAlive -p POST -t n초 동안 호출 사용법 예시 ab -n 100 -c 300 http://테스트 도메인 - 300명이 100번 요청 ab -n 100 -c 300 -t 100 http://테스트 ..

linux/apache 2021.05.31

lsblk 명령어

lsblk 는 리눅스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로 blkid 보다 더 상세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옵션없이 사용하면 트리 형식으로 모든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출력합니다.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vda 252:0 0 25G 0 disk └─vda1 252:1 0 25G 0 part / vdb 252:16 0 50G 0 disk └─vdb1 252:17 0 50G 0 part /mnt 옵션 설명 -a : 모든 장치들을 출력합니다. -f :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 정보까지 출력합니다. -t : 옵션을 사용하면 topology 정보도 출력합니다. -l : 포맷한 디스크 목록을 출력합니다. UUID 값 확인 방법은 blkid / lsblk 등이..

docker 에러 (UUID)

docker 시작이 안되고 messge 로그에 다음과 같이 나올경우 UUID값이 변동되었는데 설정파일에서 찾을 수 없어서 발생되는 문제입니다. blkid 명령어로 UUID를 확인 합니다. vi / var / lib / docker / devicemapper / metadata / deviceset-metadata ->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UUID 값을 수정해줍니다. {"next_device_id":1,"BaseDeviceUUID":"**OLD-UUID**","BaseDeviceFilesystem":"xfs"}

linux/기타 2021.05.31

Swap 메모리 초기화

free -m 명령어로 현재 메모리 상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127408 30300 45793 1327 51315 94991 Swap: 4095 4095 0 Mem : 장착된 메모리 Swap : Mem에 가용량을 넘을 경우 하디디스크의 공간을 Swap 메모리를 사용(속도가 느려짐) used 부분이 사용중인 메모리인데 용량이 꽉찬경우 다음 명령어로 초기화 하면됩니다. swapoff -a && swapon -a swapoff -a : 스왑메모리 사용을 중지 swapon -a : 스왑메모리 사용을 활성화 swap 메모리를 내렸다 올리면 됩니다. 메모리 용량이 클경우 다소 오랜 시간이 소요됩니다. Swap 메모리 사용 빈..

linux/기타 2021.05.31

apache access 로그로 접근 된 ip 확인하기

아파치 로그파일 위치는 설치 방법에 따라 다르니 참고 바랍니다. cat /usr/local/apache/logs/access* | awk ‘{print $1}’ |sort |uniq -c | sort 접속 횟수 접속ip 99 222.241.x.x 102 175.210.x.x 135 115.x.x.x 152 221.x.x.x 213 222.x.x.x 231 114.x.x.x 7028 115.x.x.x 위와 같이 확인 후 한 ip 에서 접속(부하)를 주는 것으로 확인이 되면 iptables를 이용하여 차단 하면 됩니다.

linux/apache 2021.05.26

Sendmail에서 계정 대문자로 인한 메일 전송 실패

이번 글에서는 Sendmail을 구축한 서버로 메일을 전송하였을 때 전송이 실패하는 원인 중 하나에 대해 알아보려합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서버내에서 계정명에 대문자가 포함된 경우입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Sendmail은 계정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무조건 소문자로 바꿔 버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문자가 포함된 계정으로 메일을 발송 시 전송이 실패가 됩니다. 이제 위 원인에 대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ndmail을 미리 설치하였습니다.) 먼저 대문자가 포함된 계정을 생성합니다. (Jun) 그 다음 생성된 계정으로 메일을 보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처럼 내용 입력 후 보내봤습니다. 위 와 같이 메일 전송이 실패했다는 메일이 돌아옵니다. 메일 가운데 보시면 User ..

linux/mail 2021.05.25

Oracle 계정 생성 & 권한부여 & 패스워드 변경

Oracle 계정 생성 및 권한 그리고 패스워드 변경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계정 생성 및 제거 > ./sqlplus / as sysdba → 오라클로 접속하는 방법입니다. * 오라클에서는 관리자 계정으로 sys와 system 계정이 있습니다. sys 계정은 super user 이며, system은 sys와 권한이 같으나 database 생성권한이 없습니다.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거나 databases를 새로 만들 때는 sys 계정으로 접속해야 합니다. 위 명령어는 sys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하기 위한 명령어 입니다. > alter session set “_ORACLE_SCRIPT”=true; → 12c 버전부터 C##으로 계정이름을 지정하도록 바뀌었다고 합니다. 위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고 계..

linux/DB 2021.05.25

node.js와 letsencrypt 연동하기

Linux에서 node.js 설치와 letsencrypt를 연동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환경은 cent 7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1. Node.js 설치 먼저 설치에 앞서 node.js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node.js는 개발용 언어인 자바스크립트를 서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한 사이트 스크립트 언어이자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말합니다. 또한 node.js와 같이 설치하는 npm(node package manager)는 node.js로 생성된 모듈을 웹이나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그 모듈들을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명령어를 통하여 모듈, npm의 버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curl -sL https://rpm.nodesource.com/setup..

linux/java, nodejs 2021.05.25

tomcat 8005 포트 빠르게 올리기

Tomcat이 느리게 작동되는 경우는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환경을 모두 잘 셋팅하고 정리해놨는데도 불구하고 이상하리만치 느리게 로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tomcat을 startup 시키고 난 후 netstat -ntl 로 포트를 확인해보면 8005번 포트가 안올라오는 상태이다. 이 경우 shutdown을 해도 (서버가 실행된 상태가 아님) 이라는 오류 메세지를 뱉어내는데 ps -ef | grep tomcat 으로 프로세스를 검색하면 톰캣은 여전히 돌아가고 있는 상태이다. 일단 이 현상이 발생된 환경은 gabia의 g클라우드 서버에서 Ubuntu 16.04 이미지를 사용할 떄 발생이 되었다. 커널도 4.4.0으로 로컬에서 테스트 했을때와 같은데 왜 톰캣 로드가 이곳에서만 느린것인지..

linux/tomcat 2021.05.2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