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inux 68

mysql 계정 생성 및 권한 부여

user 생성 유저를 생성하는 명령어 create user '아이디'@'%' identified by '비밀번호'; 권한 부여 특정 데이터베이스에만 권한을 줄 수도 있고, 아니면 특정 권한(ex. select)만 줄 수도 있다. grant all privileges on *.* to '아이디'@'%' identified by '비밀번호'; ->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테이블에 대한 권한 부여(*.* 이 모든 테이블이란 뜻이다.) grant all privileges on DB이름.* to '아이디'@'%' identified by '비밀번호'; -> 특정 DB에 대한 모든 권한 부여. grant select, insert, update on DB이름.* to '아이디'@'%'; -> 특정 DB에 대한 ..

linux/DB 2021.07.20

bulk_insert_buffer_size 설정

MySQL은 조회(SELECT) 에 있어서 최고의 강점을 갖는 종류의 DB이지만, 경우에 따라 막대한 양의 Insert 를 수행해야할 때가 있다. 대량의 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을 Bulk Inserting 이라 하며, 이를 위한 다음과 같은 튜닝 기술들 정도는 숙지해두도록 하자. (1) 여러 개의 Insert 구문 수행시 Values 리스트를 다중으로 사용하는 것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말 효과 제대로 본 방법인데, 다수의 동일한 Insert query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최적화가 가능하다. /etc/mysql/my.cnf 파일을 열어서 [mysqld] 항목 아래에 bulk_insert_buffer_size=256M 과 같이 설정 * 수치는 필요에 따라 설정하며 1024 단위로 하는게 좋다 설정 ..

linux/DB 2021.07.15

mount 안될때 "device is busy"

사용자가 mount 되어 있느 해당 디바이스에 존재하고 있거나, 특정 사용자나 프로세스가 해당 경로를 사용중인 경우 해당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다. -l 또는 -f 옵션 사용 # umount -l /datadisk 또는 # umount -f /datadisk * -f 옵션의 경우 버전에 따라 않되는 경우도 있음 * -l 옵션 : 지연된 언마운트(lazy umount)는 디바이스가 사용되지 않을 때까지 대기한 후에 디렉토리 트리로부터 파일시스템을 언마운트한다. fuser 사용 # fuser -ck /datadisk # umount /datadisk fuser 명령어 fuser명령어는 특정파일을 어떤프로세스에서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할 때, 또는 특정 파일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세스 ID를 확인하고자 할..

linux/기타 2021.07.08

atime, mtime, ctime

atime (File Access Time) 파일이 어떤 명령이나 스크립트 등에 의해 열리거나 읽혀졌을 때 기록되는 값이다. 에디터 등의 프로그램으로 여는 경우 뿐만이 아니라 cat, head, tail, sort, grep 등으로 단순히 읽혀지기만 한 경우에도 변경된다. ctime (File Change Time) 파일의 데이터 혹은 각종 속성값이 변경된 시점에 기록되는 값이다. 권한, 소유자, 파일크기 등 모든 종류의 속성값 변경에 의해 기록된다. mtime (File Modify Time) 파일의 데이터 수정 시간으로서, 파일의 내용이 달라졌을 때 기록된다. 따라서 파일의 권한이나 소유자 등의 속성값을 변경할 때는 ctime에만 반영될 뿐 mtime 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데이터를 수..

linux/기타 2021.07.07

bind (네임서버) 설치

DNS 란? DNS(Domain Name System)는 원하는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 입력한 알기 쉬운 문자로 된 도메인 주소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 시켜주는 서비스입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서버를 네임서버라고 합니다. 본인 소유의 서버를 네임서버로 이용하려면 현재 소유하고 있는 도메인이 있어야 합니다. 도메인을 등록한 업체를 통하여 네임서버 호스트 등록을 하면 도메인 등록 업체에서는 이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최상위 기관에서도 조회할 수 있도록 조치하며, 이러한 절차를 거치고 나면 비로소 네임서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DNS 서버 구축 순서 네임서버를 구축하는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DNS 구축에 필요한 프로그램 설치 DNS 설정 정방향, 역방향 zone 파일..

InnoDB 테이블 손상 시 강제 복구

웬만하면 MySQL 서버의 코드 버그로 인해 비정상적인 셧다운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MySQL 서버에 장착한 별도의 플러그인, Custom으로 개발한 UDF 사용, 하드웨어 장애 등의 원인으로 비정상적 종료가 될 수 있다. 특별한 명령이 없었는데 MySQL 서버가 재시작 된다면 MySQL 서버의 에러로그 파일에 "Segmentation fault" 메시지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와 같이 "Segmentation fault" 메시지가 존재하고 서버가 셧 다운 되었다면, 데이터 파일 혹은 InnoDB의 로그파일 손상되었을 수 있다. my.cnf 에서 [mysqld] innodb_force_recovery = 1 옵션값은 0~6까지있는데 0보다 큰 값으로 설정되어있으면 INSERT, UPDATE , DE..

linux/DB 2021.07.02

Onboard Raid 설정

1. Linux Onboard Raid 설정 1.1 BIOS 설정 - Onboard Raid를 설정 하기 위해 먼저 BIOS에 진입합니다. 진입 후 Advanced에서 SATA Configuration로 진입합니다. - Configure SATA as에서 RAID를 선택합니다. - SATA/sSATA RAID Boot Select에서 1번째 SATA Controller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저장 후 나갑니다. - Onboard Raid를 구성하기위해 CTRL + I 를 입력하여 설정 창으로 진입합니다. - Raid 구성을 위해 1번 Create RAID Volume으로 진입합니다. - Name은 원하는대로 정하면 됩니다. RAID Level도 원하는 RAID Level 선택 후 Create Volume을..

linux/기타 2021.07.02
728x90
반응형
LIST